해 먼저 이야기가 시작됐다. 마진노선이란 ‘마진(이윤)이 없는 선’이라는 뜻인데, 여기서 마진이 프랑스 장군이 지키던 최후 방어선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즉, 마진노선은 단순한 이윤이 아닌 중요한 경계선 같은 의미로 받아들여졌다.
이어 세계 4대 문명에 관한 이야기가 잠시 나왔다. 메소포타미아, 이집트, 황하 문명 등이 언급됐지만 정확한 답을 기억하지 못해 웃음을 자아냈다. 그러면서 ‘샌드위치’라는 단어에 대한 유래도 다뤘는데, 샌드위치는 백작이 즐겨 먹던 빵에서 이름이 왔다는 재미있는 설명이 나왔다.

본론으로 돌아와 유재석의 재산에 관한 이야기가 이어졌다. 유재석의 재산 규모가 약 2조 원을 넘는다는 말에 모두가 놀라움을 감추지 못했다. 단순히 큰 숫자가 아닌 실제로 엄청난 금액임을 인정하는 분위기였다. 이동욱이 농담 섞인 말투로, “정말 총 맞으면 죽을 정도”라는 표현을 써서 재산 규모를 비유하기도 했다.
이 대화는 재산이라는 무거운 주제를 가볍고 친근하게 풀어내면서, 두 사람의 편안한 관계와 유머 감각을 보여주었다. 평소 재산에 대해 큰 관심을 가지지 않는 듯한 유재석도 이런 이야기를 통해 자연스럽게 웃음을 주었다. 이동욱은 유재석의 부를 농담 소재로 삼으면서도, 그만큼 유재석이 대중에게 사랑받고 성공한 인물임을 간접적으로 인정하는 셈이었다.

이처럼 두 사람의 소소한 대화 속에서는 단순한 부의 크기를 넘어, 사람들 사이에서 어떻게 재산이 화제거리가 되는지, 그리고 그것이 때로는 유쾌한 농담으로 승화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유재석은 자신의 성공과 재산에 대해 겸손한 태도를 유지하면서도, 이동욱과의 자연스러운 대화를 통해 대중에게 한층 더 친근한 이미지를 전달했다.